나베시마 나오시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베시마 나오시게는 16세기에서 17세기 초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류조지 타카노부의 가신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1570년 사가 성 전투에서 오토모 씨 군대를 격퇴하는 데 기여했고, 1584년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타카노부 사후 류조지 가문의 실권을 장악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지원하여 큐슈 정벌에 참여했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조선에서 활약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에 서서 사가 번 건립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그의 아들 나베시마 가쓰시게가 사가 번 초대 번주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베시마씨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나베시마씨 - 사가성
사가성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류조지 가문과 나베시마 가문의 거점이었으며, 1726년 대화재와 1874년 사가의 난을 겪었으며, 현재는 샤치 문과 쓰즈키 망루가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1618년 사망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1618년 사망 - 월터 롤리
월터 롤리 경은 16세기 잉글랜드의 탐험가, 군인, 정치가, 작가로, 엘리자베스 1세 치세에 활약하며 신대륙 탐험과 식민지 개척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 1536년 출생 - 송응창
송응창은 명나라 관료로서 임진왜란 때 경략으로 조선에 파병되어 평양 수복에 기여했으나, 석성과의 갈등과 당쟁으로 은퇴 후 《경략복국요편》을 저술했으며, 산동순무 시절 행정 능력을 인정받은 위엄 있는 인물이다. - 1536년 출생 - 삿사 나리마사
삿사 나리마사는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호쿠리쿠에서 공을 세웠으나,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대립하다 항복 후 히고 국주로 임명되었지만 히고 국인 일기를 진압하지 못해 할복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다.
나베시마 나오시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명 | 노부마사(信昌) |
가명 | 손시로(孫四郎) |
관직 | 좌위문대부(左衛門大夫) |
애칭/별칭 | 류조지의 인왕문, 노호(老虎) |
계명 | 고덴지덴닛포소치다이코지(高伝寺殿日峯宗智大居士) |
묘소 | 사가현 사가시 혼조정 고덴지 |
관직 정보 | |
직위 | 사가 번 번주 |
임기 시작 | 1607년 |
임기 종료 | 1618년 |
생애 | |
출생 | 1538년 4월 12일 |
사망 | 1618년 7월 24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나베시마 기요후사 |
어머니 | 류조지 이에스미의 딸 |
자녀 | 나베시마 가쓰시게 |
기타 자녀 | 나베시마 가쓰시게 |
소속 | |
소속 세력 | 류조지 씨 |
주요 전투 | |
전투 목록 | 사가성 공방전 |
2. 생애
나오시게는 류조지 타카노부의 군대를 이끌며 전투에서 자신의 능력을 증명했다.
1570년, 나오시게는 6만 명의 오토모 씨 군대에 포위된 사가 성에서 타카노부를 도왔다. 그러나 나오시게는 5,000명의 병력밖에 없었기에 적의 진영을 야습할 것을 제안했고, 이는 성공하여 적을 격퇴했다.
1575년, 그는 서부 히젠의 스고 성을 공격하여 성주 히라이 츠네하루를 자결하게 만들었다.
1584년, 나오시게는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도 타카노부를 도왔지만, 패배를 막을 수 없었고, 이는 타카노부의 죽음으로 이어졌다. 나오시게는 타카노부가 사망했을 때 히젠의 류조지 타카노부의 수석 가신이었고, 류조지의 사가 성은 나오시게가 차지했다.[4]
1585년, 나오시게는 오토모 씨에 대항하는 류조지 이에하루가 이끄는 대규모 침략에 참여했다. 동맹군은 구루메 마을을 공격하기 시작했다.[6] 그러나 4월 23일, 오토모의 두 장군 타치바나 도세츠와 타카하시 시게타네는 숙련된 포격, 방어 전술, 적절한 반격을 조합하여 동맹군과 교전했고, 결국 동맹군의 포위 공격은 실패했다.[7][8]
1587년, 나오시게는 류조지의 후계자가 약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류조지를 떠나 큐슈를 상대로 한 전투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지원했다. 나오시게는 수백 명의 적을 죽이며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592년, 그는 히데요시의 조선 출병에 파견되었고, 가토 기요마사와 우정을 쌓았으며, 히젠으로 돌아온 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도 친분을 맺었다. 나오시게는 임진왜란에서 12,000명 이상의 군사를 이끌고 조선으로 건너갔다.
1600년, 나오시게는 도쿠가와 측에서 우도 성 공방전과 야나가와 성 공방전에서 싸웠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나오시게는 아들 나베시마 카츠시게를 보내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도왔다. 도쿠가와 씨의 승리 이후, 그들의 357,000석 영지는 이에야스에 의해 건드려지지 않았다.
이후, 영지의 통제권은 나오시게에게 넘어갔고, 류조지 마사이에가 1607년 전투에서 사망하면서 많은 류조지 씨 영토가 나오시게의 손에 들어갔다.[9]
나오시게가 죽은 후 그의 가족은 매우 유명해졌다.
나오시게의 행동과 말은 나오시게의 손자 나베시마 미츠시게의 측근이었던 작가 야마모토 츠네토모에 의해 하가쿠레의 3장에서 불멸화되었다.
2. 1. 류조지 다카노부의 오른팔
류조지 다카노부의 가신으로, 다카노부가 쇼니 씨를 멸망시키고 오토모 소린의 침공을 막아내는 데 큰 공을 세웠다.[27][28] 1538년 히젠 사가 군의 호족 나베시마 기요후사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류조지 씨였다. 1541년 주군 류조지 이에카네의 명령으로 지바 다네쓰라의 양자가 되었으나, 1545년 류조지 씨와 쇼니 씨의 적대 관계로 인해 양자가 파기되고 본가로 돌아왔다.[27]류조지 다카노부가 류조지 씨를 계승하고, 다카노부의 생모 게이긴니가 나오시게의 아버지 기요후사의 계실이 되면서, 나오시게는 다카노부의 종제이자 의제가 되어 후한 신임을 받았다.[28][29] 1559년 류조지 씨가 숙적 쇼니 씨를 멸망시키는 데 기여했다.
1569년 오토모 소린이 쳐들어오자 다카노부에게 농성을 진언하고, 모리 씨에게 오토모 영지 침공을 요청했다. 1570년 이마야마 전투에서는 야습을 진언, 야습 부대를 지휘하여 오토모 지카사다를 격파하여 류조지 가문 내에서 존재감을 크게 높였다.[30] 이 승리를 기념하여 나베시마 가문의 문장은 츠루기하나비시에서 오토모 가문의 은행잎으로 바뀌었다.[30]
1575년 쇼니 씨 잔당을 섬멸하고, 1578년 히젠 남부의 아리마 씨 ・ 오무라 씨 등을 굴복시키는 공적을 세웠다. 다카노부가 은거하고 그의 아들 류조지 마사이에가 가독을 잇자 마사이에의 후견인으로 임명되었다.
1581년 다카노부와 함께 시마즈 씨와 내통한 가바이케 시게쓰라를 죽이고, 야나가와 성 공격을 독려하여 가바이케 씨를 멸망시킨 뒤 야나가와 성에 들어갔다. 이후 지쿠고 국 국정을 맡았으나, 교만해진 다카노부가 간언하는 나오시게를 소홀히 하자 지쿠고로 돌아갔다.
1584년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다카노부가 시마즈 씨에게 패하고 전사하자, 나오시게는 자결하려 했으나 가신들이 말려 히젠으로 물러나 마사이에를 보필하며 류조지 씨의 세력 회복에 힘썼다. 시마즈 측의 다카노부 목 반환 제안을 거부하며 강렬한 적대 의사를 드러내, 이후 강화에서 더 나은 조건을 얻어냈다.
2. 2. 류조지 가문의 실권 장악
류조지 다카노부 사후, 나베시마 나오시게는 류조지 가문의 실권을 장악해 나갔다. 나오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친분을 맺고 규슈 정벌을 촉구하였으며, 히데요시 군의 규슈 접근을 알자 시마즈와 관계를 끊고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구출하여 시마즈 공격의 선봉을 맡았다.[31] 이러한 공으로 히데요시는 류조지 마사이에에게 히젠 국 7개 군 30만 9,902석을 안도(安堵)했지만, 실질적인 국정은 나오시게가 담당하게 하였다.[31] 히데요시는 1588년 마사이에에게, 1589년에는 나오시게와 그의 아들 나베시마 가쓰시게에게 도요토미 성(豊臣姓)을 하사했다.[32] 나오시게는 1588년부터 류조지 영내에서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며 인장(印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3]조선 출병에서 나오시게는 가토 기요마사를 주장으로 하는 일본군 2번대의 무장으로 참전했으며, 류조지 가신단의 나오시게에 대한 경도를 더욱 촉진시켰다. 이 시점에서 마사이에와의 불화가 소문으로 돌기 시작했으며, 1596년에는 마사이에 독살 기도 소문까지 돌았으나, 나오시게는 이를 부정하는 기청문을 제출했다.[17] 나오시게는 조선 출병에서 한 번도 귀국하지 않았으며, 1597년이 되어서야 아들 가쓰시게와 교대로 일본으로 귀국했다.[18][19]
2. 3.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참전
나베시마 나오시게는 1592년 임진왜란 때 제2군 사령관 가토 기요마사 휘하에서 1만 2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참전했다.[34] 함경도로 진격해 조선의 왕자 임해군과 순화군을 붙잡는 등 전공을 세웠으나, 북관대첩에서 조선 의병장 정문부에게 크게 패했다.[34] 1597년 정유재란 때는 제4진으로 황석산성 전투에 참전했고, 제1차 울산성 전투에서는 8만 명의 구원병 총사령관으로 조명연합군을 격퇴했다. 임진왜란 참전 시기를 거치면서 류조지 가신단은 차츰 주가인 류조지 씨를 버리고 나오시게에게로 기우는 경향이 더욱 촉진되었다.[34]나오시게는 조선으로 간 이후 한 번도 귀국하지 않았으며, 1597년 아들 가쓰시게와 교대한 이후에야 일본으로 귀국하였다.[35][36]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고 철수하는 와중에 이삼평 등 많은 조선 도공들을 일본으로 끌고 왔으며, 이들이 모여 도자기를 생산한 아리타정은 이후 일본 유수의 도자기 생산지가 되었다.
2. 4. 세키가하라 전투와 사가 번 성립
나베시마 나오시게는 1600년에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 측에 참전하였다.[37] 아들 가쓰시게는 당초 서군에 참전하려 하였으나, 나오시게는 이시다 미쓰나리가 거병하자 서군에 속해 있으면서도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쌀 매점 목록을 보내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나베시마에게 다른 마음은 없다'라는 인상을 심어주었다.[37] 그리고 세키가하라 본전이 개시되기 전에 가쓰시게와 그 군세를 전선에서 이탈시켰다.이후 나오시게는 이에야스에 대한 공순의 뜻을 보이기 위해 규슈의 서군 제장들의 거성을 공격하였고, 고바야카와 히데카네의 구루메 성을 공략하고, 다치바나 무네시게의 야나가와 성을 항복시켰다.[20] 또한 다른 동군 제장들과 함께 시마즈에 대한 공격을 준비하였으나 실행 직전에 중지되었다.
이러한 규슈에서의 전투는 이에야스에게 인정받아, 류조지 씨의 히젠 국 사가의 본래 영지는 나베시마 가문에게 안도되었다.[20] 다만, 전후 처리 과정에서 도쿠가와와 동군에 참가한 집안 내 무장들에 대한 배려도 잊지 않았다.[20] 1608년 사가 성을 수축해 히젠 사가 번[38]의 기초를 세워 나베시마 가문의 번조(藩祖)가 되었다.
에도 시대에 들어 류조지 다카후사는 막부에 사가 번에서의 류조지 씨의 실권 회복을 요구하였으나, 막부는 나오시게 ・ 가쓰시게 부자가 류조지 씨로부터 그 지위를 선양받았음을 인정하였다.[21] 류조지 노부치카 등도 나베시마 씨로의 선양을 지지하여, 가쓰시게는 막부의 공인 아래 나오시게의 뒤를 이었고, 류조지 가문의 영지를 넘겨받아 사가 번주가 되었다.[21]
1607년 다카후사는 나오시게를 원망하여 부인을 죽이고 자결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나오시게는 다카후사의 행적을 비난하는 서한을 보냈지만,[21] 다카후사는 같은 해 사망하였다. 그 뒤 나오시게는 류조지 일문에 대한 경의를 표하면서도 그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약화시켰다.[21]
나오시게는 류조지 씨나 가문 세력에 대한 생각이 있었던 것인지 자신은 번주의 자리에 오르지 않고, 초대 번주는 가쓰시게가 맡았다. 때문에 나오시게는 번조(藩祖)라고 불리게 되었다. 1618년 나오시게는 병으로 사망하였는데, 당시로서는 장수였지만 귀에 생긴 종양으로 심한 통증에 시달렸기에 다카후사의 망령이 한 짓이 아닐까 하는 소문이 나돌았고, 이것이 '나베시마 가문의 요괴 고양이 소동' 이야기의 모티프 중 하나가 되었다.[5]
3. 인물 및 일화
나오시게는 류조지 다카노부와 의형제 관계였으며, 그 때문에 다카노부에게 간언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전해진다. 처음에는 다카노부와 사이가 좋아서, 다카노부와 나란히 "류조지의 인왕문"이라고 칭송받기도 했지만, 만년의 다카노부가 주색에 빠지자 점차 소원해져 멀어졌다고 한다.[23]
1574년에 히라이 쓰네하루의 스고 성을 공격했을 때, 요새였기 때문에 전군이 공격에 지쳐 저녁이 되어 철수 직전이 되었지만, 나오시게는 선봉으로서 같은 공격로에서 싸우고 있던 히로하시 노부유키에게 전령을 보내어, 우리들이 공격하는 데 지장이 생겼으니 빨리 함락시키라고 전했고, 이에 격분한 히로하시를 죽게 만들었다. 1577년의 오무라 스미타다 공격 때는, 류조지 군에는 "선봉의 패배는 이진의 부주의, 선봉의 승리는 이진의 공적"이라는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오시게는 선봉인 가쓰야 쇼이치켄이 죽어가는 모습을 그저 묵묵히 지켜보다가, 다카노부로부터 급히 가쓰야를 돕도록 전령을 받고서야 비로소 지원에 가담하는, 의도적인 행위로밖에 생각되지 않는 행동을 했다.[23]
나오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천하를 얻는 데에는 지혜와 용기도 있지만, 대기(패기)가 부족하다"라고 평해졌다고 한다.
나오시게는 히데요시에게 일찍부터 신임을 받아 류조지 씨의 가독 대행자로 여겨졌고, 1590년 시점에서 이미 마사이에가 히데요시로부터 받은 지행(영지) 할당장 안에서 4만 5000석이라는 독자적인 지행을 받았다.
4. 가신단 및 편휘를 받은 인물
나오시게로부터 편휘를 받은 인물은 다음과 같다. ''생''과 ''무''를 포함하는 인물이 편휘를 받은 인물이며, "무"를 통자로 하는 나베시마 일문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무"가 굵게 표시되지 않은 인물은 다음 대인 가쓰시게로부터 받은 것이다.
- 류조지 계: 류조지 야스요시, 류조지 노부치카, 류조지 나가노부, 류조지 이에하루, 다쿠 야스유키, 고토 이에노부
- 친족: 나베시마 노부후사(나오시게의 서형), 나베시마 '''무'''사토(이시이 노부타다의 아들로 나오시게의 양자), 나베시마 다네노부(나오시게의 의제), 진다이 이에요시(나오시게의 조카로 진다이 나가요시의 양자)
- 나베시마 삼생: 이시이 '''생'''찰, 시모무라 '''생'''운, 나베시마 '''생'''조(나오시게의 사촌 기요토라의 아들로 여겨짐), 후지시마 '''생'''익
- 이 4명은 나오시게가 '''노부나리'''를 칭했을 때 "'''생'''"의 글자를 하사받은 인물로, 처음 세 명을 특히 (속칭) '''나베시마 삼생'''이라고 부른다.
- 그 외 가신: 나리토미 '''무'''야스, 이시이 시게나리, 이시이 '''무'''리, 이시이 시게키요, 나베시마 '''무'''현(무사토의 친동생, 처음에는 후카보리 성), 에조에 '''무'''구, 나카노 기요아키, 구나 '''무'''준
5.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nabeshima[...]
Nabeshima Hōkōkai
2019-08-31
[2]
서적
Kodansha
[3]
서적
Nabeshima Naoshige in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5]
웹사이트
http://www.nabeshima[...]
Nabeshima Hōkōkai
2019-08-31
[6]
웹사이트
筑後国史 : 原名・筑後将士軍談 上巻
https://dl.ndl.go.jp[...]
1927
[7]
문서
[8]
서적
久留米市史 第6巻
https://ci.nii.ac.jp[...]
Kurume City History Editorial Committee
2024-05-12
[9]
서적
Ryūzōji
https://books.google[...]
[10]
문서
鍋島直茂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서적
戦国期印章・印判状の研究
岩田書院
[17]
서적
佐賀市史
佐賀市
[18]
서적
肥前史研究 三好不二雄先生傘寿記念誌
[19]
학술저널
朝鮮出兵における鍋島直茂の一時帰国について
[20]
서적
関ケ原合戦―戦国のいちばん長い日―
中央公論社
[21]
서적
佐賀市史
佐賀市
[22]
웹사이트
佐賀城築城400年記念 歴代藩主と佐賀城
https://www.nabeshim[...]
徴古館
2024-12-03
[23]
문서
[24]
DVD
맥 불을 빚는 사람들 2부
KBS Media
[25]
웹인용
https://www.nabeshim[...]
Nabeshima Hōkōkai
2019-08-31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中世II】五 鍋島氏の抬頭とその佐賀支配
https://www.city.sag[...]
佐賀市
[35]
문서
[36]
논문
朝鮮出兵における鍋島直茂の一時帰国について
人文科学研究
2006
[37]
서적
関ケ原合戦―戦国のいちばん長い日―
中央公論社
1982
[38]
문서
사가번(나베시마가)의 초대 번주는 나오시게의 아들 가쓰시게
[39]
문서
나오시게의 양녀로 나베시마 시게사토(鍋島茂里)의 장녀이다.
[40]
간행물
【中世II】五 鍋島氏の抬頭とその佐賀支配
https://www.city.sag[...]
佐賀市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